top of page

KOREAN MUSEUM OF URBANISM AND ARCHITECTURE ​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HONORABLE MENTION (
FINAL LIST)

도시 건축 박물관 설계공모

박물관단지 마스터플랜의 공간구성은 한국 궁궐건축의 공간에서 영감을 받았다. 한국 궁궐건축은 크고 작은 마당이 회랑에 의해서 구획되며, 연결되고, 확장된다. 궁궐건축이 갖는 특성은 회랑에 의한 공간의 통일성과 다양한 외부공간과 건축형식에 의한 개별성이 이루고 있는 조화이며, 이 공간구성은 박물관단지와 도시공간박물관의 관계와 닮았다.박물관단지 마스터플랜에서 규정하는 통일성은 회랑에 의해 연결된 낮은 건물, 주변 경관을 향해 열려있는 공간으로 정의되며, 이것이 각 개별 박물관의 건축형태를 규정한다. 우리는 이 박물관단지 마스터플랜의 공간구성의 원리와 전략을 바탕으로 '도시건축 박물관'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문제에 마주한다.

 

PROCESS OF SPACE CONSTRUCTION

도시건축박물관이 놓이게될 장소는 제천, 행복도시 2-4 생활권에서 이어오는 도시상징광장과 박물관단지의 중앙광장과 면해있는 장소다. 이 장소적 특징은 박물관단지 마스터플랜의 회랑에 의해 건축공간의 얼개가 조직된다. 주변 환경과 건축공간이 만나는 경계부는 회랑이라는 투명한 공간틀 (SPACE FRAME)에 상호 관입되는 공간으로 내-외부공간이 소통되고
확장된다. 교육과 전시라는 2개의 프로그램에 의해 분절된 내부공간은 이 투명한 경계부에 의해 하나로 통합되며, 이 공간은 도시건축박물관이 박물관단지와 소통하도록 만든다.

FM-36900_PT_페이지_16.jpg

MUSEUM OF URBANISM AND ARCHITECTURE

박물관은 예술적, 문화적, 역사적 또는 과학적 중요성을 지닌 유물 및 기타 대상을 관리하는 기관이다. 때문에 무엇을 전시하고 관리하는가에 따라 공간의 성격과 박물관의 정체성이 규정된다. 그러나 도시건축박물관의 지향점은 아직 열려있는 상태로, 우리는 도시와 건축을 구성하는 본질인 '입체성'을 구현하는 것을 현재 단계의 목표로 삼는다.
'입체성'은 공간적인 차원과 시간적인 차원이 결합한 것으로, 이 '입체성'은 도시건축박물관에서 경관과 건축공간의 관계, 건축의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관계, 그리고 건축공간과 시간의 관계로 구현된다.

 

FM-36900_PT_페이지_32.jpg

TIME SCAPE MUSEUM
LANDSCAPE AND ARCHITECTURAL SPACE

FM-36900_PT_페이지_28.jpg

'박물관단지는 단지 전체를 명료한 격자형으로 재조직하며, 공간프레임 장치(SPACE-FRAMING DEVICE)를 통해 전체와 부분이 통합된다. 도시건축박물관은 박물관 단지를 연결하는 이 공간프레임의 연속성을 유지하며, 이 프레임을 투명한 외피(TRANSPARENT SHELL)로 통합시킨다. 때문에 도시건축박물관은 이 투명한 외피와 전시공간을 구성하는 두꺼운 내벽 (SOLID INNER WALL)이 중첩되며, 이 중첩된 공간을 통해 도시건축박물관 내부와 주변 자연의 경관이 만난다. 도시건축박물관에서 장소는 시간의 변화를 담고, 공간은 장소와 통합되어 입체적 풍경이 된다.

 

LOOP GALLERY
EXHIBITION SPACE WITH A HIGH LEVEL OF AUTONOMY FOR VISITORS

예술품을 위한 박물관에서 수장하는 그림, 조각, 서화 등은 그 자체가 원본이며, 작가가 직접 생산한 것으로 오리지널리티를 갖는다. 그러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도시건축박물관에서 수장하고 전시하는 것은 건축의 구현과정이나 역사적 변화과정이 기록된 모형, 스케치,사진, 영상자료 등의 2차 사료다. 이러한 2차 사료는 희귀성을 떠나 다양한 방식으로 재생산이 가능하며, 때문에 도시건축박물관은 관람자에게 좀 더 높은 수준의 자율성이 보장된 전시공간이 가능하다.
IN-BETWEEN SPACE에 제안되는 LOOP GALLERY는 이러한 도시건축박물관의 특성을 활용한 자유로운 형식의 전시, 자료의 열람이 가능하며, 다양한 규모의 강의, 컨퍼런스, 토론이 가능한 공간과 연계된 복합형 전시공간이 된다. 세종시 도시건축박물관에서 무엇이 전시되고,무엇을 수장하는 문제를 뛰어넘어, 이 공간에서 우리는 다양한 건축적 담론이 오가는 토론의 장이 되었으면 좋겠다. 오늘날 우리에게 결핍된 것은 건축이 어떠해야 하는 가에 대한 우리의 정신, 우리의 목소리다.

 

FM-36900_PT_페이지_34.jpg
FM-36900_PT_페이지_35.jpg

THREE DIMENSIONAL MUSEUM RESPONSE TO DIVERSITY AND INFORMALITY

도시건축박물관의 전시 컬렉션과 주요 콘텐츠는 보다 깊은 논의를 통해 정해질 것이지만, 반대로 도시건축박물관 전시공간의 성격은 어쩌면 보다 분명한 답이 있다. 오늘날 도시, 건축의 전시는 다양한 크기의 작품으로 이루어지며, 관람자와의 직접적 소통에 관심을 갖는다. 또 작품의 형식도 도면, 모형, 스케치 등 전통적인 자료 외에 미디어, VR 등 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때문에 도시건축박물관의 전시공간은 이 다양성과 무형식성에 대응하는 것이어야 한다. 상설전시 공간은 다양한 높이를 갖춘 공간이 서로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중심부의 3개층 높이의 전시공간은 파빌리온 설치나 디지털 이벤트 전시까지 가능할 수 있는 공간구조로 계획되었다. 반면에 범용성이 중요한 기획전시관은 화이트큐브형 전시공간을 계획하며 일정한 기간을 두고 계속 전시몰이 바뀌는 상황을 대비하여 계획되었다.

 

MAIN DIAGRAM.jpg

MULTI SPACE MUSEUM IN BETWEEN SPACE

박물관단지 전체를 연결하는 회랑은 박물관단지를 결합하고 분할하는 공공인프라이면서, 동시에 마스터플랜의 정체성을 만든다. 그러나 또한 이 회랑은 각 박물관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는 디자인 언어로서 건축적 재해석이 필요한 요소이며, 우리는 도시건축박물관의 정체성은 도시건축의 해석이 구현된 것이어야 한다고 믿는다. 우리가 계획한 도시건축박물관에서 마스터플랜의 평면적인 회랑은 도시건축박물관에서 입면과 통합되고, 내부와 외부를 중재하는 사이 공간이 되어 입체화된다. 투명한 외피와 전시공간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두꺼운 내벽이 만드는 '사이공간 (IN BETWEEN SPACE)'은 마스터플랜과 도시건축박물관이 입체적으로 만나는 접점공간이 된다.

FM-36900_PT_페이지_17.jpg

GROWING MUSEUM
FROM ARCHIVING TO PRODUCTION PLATFORM OF ARCHITECTURAL DISCOURSE

현재 시점에서 도시건축박물관의 지향점과 성격을 정의내리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지만, 도시건축박물관이 컬렉션이 정해지지 않은 현재 상태를 감안한 설계가 필요하다. 우리가 제안하는 도시건축박물관의 로드맵은 초기 리서치와 아카이빙 중심의 공간에서 궁극적으로 건축담론의 생산 플랫폼으로의 역할 발전하는 것으로로 정의내린다. 때문에 박물관단지의 통합수장공간과 연계된 지하1층의 공간은 아카이빙, 학술연구, 토론이 이루어지는 중심공간으로 계획되어 박물관 초기 자료의 수집-생산-큐레이팅의 중심공간이 되도록 계획한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