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NATIONAL MUSEUM OF WOMEN'S HISTORY

Award
Awarded 3rd Prize ㅣ 3등

​국립 여성사박물관

여성사박물관은 여성을 역사의 주체로서 바라보는 관점에 의해 다양한 분야의 학술적 자료를 수집, 보존, 연구하고 대중에 전시하는 기관이다. 기존 역사에서 소외되었던 여성에 대한 시각을 재조명하는 취지에 따라 건립되는 여성사박물관의 역할은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역사의 구성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반면에 여성사박물관을 위한 부지는 도시와 단절된 땅이다. 우리는 이 고립된 땅에서 여성사박물관이 주변과의 관계에서 더 주체적인 관계를 맺는 것, 그 관계 맺음을 통해 도시, 자연, 인간이 여성사박물관의 건축공간을 통해 통합되는 것이 건축적인 해결이라 믿는다.

 

대지의 컨텍스트와 서로 다른 물성의 공간

여성사박물관은 '역사적 유물의 보존과 전시'와 '사회적 소통공간'으로서의 두 가지 목적을 갖는다. 이 두가지 목표는 여성사박물관의 사회적 목적을 완성하는 것이지만, 건축공간으로 구현될 때는 물성의 서로 다름으로 공간화된다. 여성사박물관의 프로그램은 박물관의 유물을 전시하기 위한 공간은 닫힌 물성의 공간, 사회적 소통공간은 열린 물성의 공간으로 구분되며, 이 공간들은 대지의 컨텍스트에 따라 재배열된다. 양성평등교육진흥원, 여성정책연구원과의 컨텍스트는 벽돌이 가진 닫힌 물성의 공간을 통해 연속되고, 도시와 마주하는 파사드는 개방적인 모습을 통해 열린 공간으로 계획되었다. 

SITE PLAN.jpg

여성사박물관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및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과 같은 단지 내에 건립되는 건물이다. 기존의 시설들은 독립성이 요구되는 시설이었다면, 여성사박물관은 공공에게 개방된 시설로서 그 성격이 구분된다. 여성사박물관의 부지는 주진입로인 진흥로에서 공공에게 인지성이 떨어지며, 길고 좁은 진입로를 통해 접근되는 약점을 극복하는 것이 배치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점으로 보았다. 먼저 현재 경비초소가 있는 부분은 여성사전시관의 정보전달을 위한 가장 전면의 맞이공간으로 계획되며, 약 100여미터의 진입로는 여성사박물관 진입을 위한 공간으로 진입축의 선적인 특성을 살리는 건축적 장치들이 배치되도록 계획하였다. 각 시설로 차량이 분기되는 +40레벨에서 보행자가 박물관으로 진입하는 +45레벨까지는 관람객의 자연스러운 휴식이 이루어지는 스텝플라자는 차량과 보행공간을 분리하는 벽에 의해 유도된다. 여성사박물관 가상의 필지경계선 서측과 북측으로 이어지는 경사지는 현재 지형과 대지상황을 종합했을 때 여성사박물관의 외부공간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며, 이 경우 여성사박물관 1층의 개방공간들은 좀 더 적극적으로 외부와 소통하며 부지의 협소함을 극복할 방법이라고 보았다. 경사지로 이어지는 북측의 외부공간은 테라스형 외부공간과 여성사박물관 2층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며, 다양한 형태의 외부전시공간으로 활용한 가능성을 갖춘다.

 

PLAN1.jpg
PLAN2.jpg
PLAN3.jpg
PLAN4.jpg

여성사박물관의 나눔공간인 1층은 관람객의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개방시설로 구성된다. 스텝플라자를 통해 45레벨로 진입한 관람객은 안내데스크 / 물품보관소 공간을 통해 로비공간으로 진입되며, 로비공간은  2층으로 진입되는 경사형 전시공간과 카페테리아, 아이돌봄공간을 연결한다. 경사형 전시공간은 이벤트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공연, 영화상영, 포럼 등의 활동들을 수용하는 멀티룸으로 활용된다 로비공간은 시각적으로 후면의 경사형 외부공간(제안공간)으로 확장되며, 이 경사형 외부공간은 여성사박물관의 실외전시공간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만든다. 여성사박물관의 운영계획에서 제안하는 시민갤러리, 시민꽃밭 등의 공간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로비공간과 수직동선을 위한 공용홀에서 연결되는 아카이브 / 리서치랩은 적절한 관리와 개방이 공존하는 장소로서 공간은 이 개방성에 따라 느슨하게 구분되며, 개방공간은 여성사박물관의 프로그램에 따라 전시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계획했다.

 

여성사박물관의 전시공간은 2층부터 계획되었다. 기획전시는 이벤트성 전시공간으로 1층 로비공간과 경사형 전시공간에서 자연스럽게 관람객의 동선이 유도되며, 이 경사형 전시공간은 단면적으로 3개층의 오픈공간이 시각적으로 연결되어 여성사박물관 전시공간에서 관람객의 시각적 소통을 만든다. 기획전시공간은 주제를 가진 전시공간인 화이트박스형의 공간과 관람객의 동선과 통합된 전시공간으로 계획되었다. 여성사박물관 전시공간과 지원공간은 2층에서 직진입되는 공용홀에 의해서 분리되며, 2층의 지원공간은 녹음영상스튜디오와 영상상영실이 배치된다. 시청각전시공간인 영상상영실은 공용홀에서 여성사박물관 후면부의 경사형 외부공간과 직접 연결되는 브릿지로 연결되어, 좁은 부지의 한계를 갖는 여성사박물관의 다양한 형태의 전시공간을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여성사박물관 3층은 2층의 기획전시실에서 수직동선에 의해서 연결되며, 관람객의 동선은 큰 오픈공간으로 시각적인 소통을 이루는 공용공간을 지나서 대형 상설전시공간으로 유도된다. 기획전시공간과 상설전시공간은 홀과 연결된 공용공간에 의해 느슨한 방식으로 구분되며, 대규모 상설전시공간은 외부의 수직동선을 감싸는 벽에 의해서 구획되며, 천창에서 흐르는 빛이 투과되는 공간으로 계획되었다. 여성사박물관의 지원공간 영역은 지상3층에서 세미나실이 계획된다.

 

SECTION.jpg

여성사 박물관의 지하공간은 주차장과 수장고의 공간으로 계획되며, 지상공간은 지원공간(운영사무실), 나눔공간과 전시공간으로 계획된다. 1층의 공간이 로비, 아이돌봄공간, 카페테리아, 리서치랩와 아카이브 공간으로 계획되어 이용자들의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공간으로 배치되었다. 로비의 스텝형라운지를 통해 2층으로 진입하면 기획전시공간이 계획되며, 수직동선의 연속성을 통해 3층, 4층의 상설전시공간으로 연결되도록 계획되었다. 부지여건에 따라 좁고 긴 전시공간이 생기게되는 한계와 여성사박물관에 요구되는 전시공간면적 사이에서 연속적인 전시공간 동선계획을 만들기 위해 공용공간(HALL, 복도 등)의 공간이 전시공간의 동선과 통합되도록 계획하였는데, 여성사박물관 규모의 전시공간에서는 향후 전시운영에 따라 효율적인 동선체계라고 판단했다.

 

bottom of page